안녕하세요, 실험적인 🏃➡️러닝 앱 ‘1770ment’🏃🏻♂️를 개발하고 있는 사이드프로젝트 팀입니다.
저희는 기록 중심적이고 경쟁적인 성격의 러닝을 추구하기보다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러닝 그 자체를 즐기는 사람들에 주목한 서비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서비스 내용은 서비스 소개 참고
함께 몰입하여 의미있는 성과를 만들어 볼 프론트엔드 앱 개발자 님을 찾습니다!
진행 상황
- 브랜딩 & UIUX 기획 완료, 와이어프레임 픽스
- UIUX & BX 디자인 진행 중, 백엔드 개발 시작
- 10~11월 경 MVP 출시 목표, 추후 수익화 가능성 있음
(프로젝트 진행 상황에 따라 출시 일정 약간 지연될 수 있는 점 참고)
(창업이 아닌 포트폴리오 목적으로 진행된 프로젝트라 출시를 1차 목표로 하고, 아직 수익모델을 구체하지 않은 점 참고)
팀원 구성
- PM·기획 1, UIUX 디자인 2, BX 디자인 1, 백엔드 4, 마케팅 2, 사업전략 1
진행 방식 (협업 방식)
- 주 1회 정기 회의(파트 리더 위주 참여, 불필요 시 카톡으로 대체) : 온라인, 디스코드, 화요일 21시 30분
- 평상시 소통 : 카톡, 슬랙
참고 사항
- 개발, 배포, 운영 중 비용 발생 시 1/1n 부담 (1n = 현재 인원 11인+충원 인원)
* 상세한 내용은 최종 합류 후 공유드리겠습니다.
브랜딩 출발점 및 방향성
“누구나 꿈꾸는 러닝이 있다.”
- 우리는 러닝을 단순한 운동으로 보기보다는 ‘개인의 취향과 감성을 담는 행위’로 해석하고, ‘개인의 취향이 반영된 의미 있는 경험’으로 러닝을 해석할 수 있도록 기록합니다.
핵심 타깃
꿈꾸는·낭만 있는 러너 : 기록 중심적이고 경쟁적인 성격의 러닝을 추구하기보다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러닝 그 자체를 즐기는 사람들
- 순위·경쟁보다는 러닝 자체의 경험과 그 과정에서 느끼는 기쁨·정신적 만족 등 ‘비결과적’ 가치를 지향하는 성향
- 감정, 취향, 경험의 언어로 ‘달라진 러닝의 언어’를 추구하는 성향
- 러닝의 순간·경험을 남기는 등 ‘러닝의 콘텐츠화’, ‘러닝을 통한 자기표현’ 등 자기 정체성을 표현하는 걸 즐겨하는 성향
타깃이 겪는 문제점 및 해결방안
기록 중심적이고 경쟁적인 러닝 문화에 대한 피로감을 느끼는 성향의 러너들에 대한 공감대를 배경으로
성과 중심에서 경험 중심으로의 구조 전환을 통해
개인이 그동안 쌓은 러닝 경험을 여러 모습으로 돌아보며 자신만의 취향과 여정을 확인하고, 어떠한 형태의 러닝이든 러닝 그 자체를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 ‘수치적인 성과 이면의 작지만 낭만과 감성적인 가치가 담긴 기록’을 남기는 것이 우리의 목표입니다.
- 나의 러닝 경험이 곧 ‘나만의 이야기’가 됩니다.
- 자신이 달려온 여정과 그 순간의 기억을 한눈에 돌아보면서 ‘정서적인 자기 동기화 효과 및 지속 의지’를 가집니다.
핵심 기능
🏃♂️➡️ · · · 측정/트래킹
달리면서 거리, 페이스, 시간 등을 측정
- 러닝 시작 전_준비·목표 설정
- 러닝 진행_러닝 세션 화면
🏃➡️ · · · 오늘의 러닝 잔상·무드 남기기
러닝 종료 후 한 컷 촬영 및 감정 남기기
- 오늘의 러닝 잔상 남기기 : 인앱 필터 카메라를 활용한 사진/영상 촬영
- 오늘의 러닝 무드 남기기 : 감정 태그 선택
- 오늘의 러닝 카드 보기 : 측정 기록과 사진, 감정 태그를 활용한 러닝 카드 자동 생성 & SNS 공유하기
🏃♀️➡️ · · · 아카이브
러닝 경험이 여러 방식으로 시각화된 나만의 러너 페르소나 누적과 회고의 공간
- Recap : 나의 러닝 경험과 여정의 계절별 결산
- 러닝 플레이리스트 : 러닝 사진이 특정 주제별로 분류된 플레이리스트
- Tag My Run : 러닝을 통해 느낀 감정과 경험들의 해시태그화
- 러닝 잔상 모음집 : 그동안의 러닝 사진들 모아보기
🏃♀️➡️ · · · 통계
- 평균 페이스 : 지난주 vs 이번 주 평균 페이스 비교
- 나의 활동 : 그동안의 러닝 측정 기록들 모아보기
- 러닝 패턴/습관 : 나의 러닝 패턴이나 습관 요약
✅ 함께 하실 역할
1. 기획자, 디자이너, 백엔드 개발자와 협업하여 서비스 구현
2. 앱의 첫 버전 개발부터 출시·운영까지 전 과정 참여
3. 기능 관련 의견 공유 및 기술 선택에 참여
4. 새로운 기술과 툴을 직접 실험·적용하면서 프로젝트 완성
5. 협업 툴과 Git을 활용한 팀 단위 개발 흐름 경험
✅ 이런 분이면 좋아요
1. 앱 출시 전까지 특히 집중적으로 몰입하여 참여 가능하신 분
- 출시 일정을 목표로 최대한 시간 투자 가능하신 분이 필요해요
- 출시 후에도 장기적으로 함께 하실 분이면 더 좋아요
2. React Native, Flutter 등 크로스 플랫폼 프레임워크로 앱을 만들어보고 싶은 분
3. 지도/위치 기반 서비스를 구현해보고 싶은 분
4. Provider, Bloc, Riverpod 등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보고 싶은 분
5. RESTful API와 통신하는 구조의 앱을 만들어보고 싶은 분
6. Firebase Cloud Messaging(FCM)으로 푸시 알림을 적용해보고 싶은 분
7. 카카오/네이버/구글 등 소셜 로그인을 붙여보고 싶은 분
8. Git과 이슈 트래커로 팀 단위 협업을 경험해보고 싶은 분
9. 실제 앱을 스토어에 배포하고 운영해보고 싶은 분
✅ 참고 : 백엔드 기술 스택
- 프레임워크: Spring Boot 3.5.4 (Java 21)
- ORM / 데이터 접근: Spring Data JPA, QueryDSL
- 데이터베이스: MySQL 8.0
- API 스타일: RESTful API
- 인증 / 보안: Spring Security, JWT 기반 인증 구조
- 테스트: JUnit 으로 단위·통합 테스트 작성
- 빌드 & 의존성 관리: Gradle
- 인프라 / 클라우드: AWS EC2, RDS, S3, CloudFront
- CI/CD: GitHub Actions 기반 배포 자동화
- 로그 & 모니터링: Spring Boot Actuator, AWS CloudWatch
- 협업 & 형상관리: Git, GitHub Flow
⭐ 지원할 때 포폴/깃헙 등 그동안의 경험을 보여주실 수 있는 링크나 파일을 공유해주시면 더 좋아요!
#Figma
#Git
#Java
projectTypeString2.01 waiting_apply
프로젝트 apply